실업급여의 모든것 :: G-Factory
개인방송, 인터넷방송, BJ방송, 실시간라이브방송 '꾹티비'

오늘은 실업 급여에 대해서 알아보기로 해요~

직장을 다니다가  갑자기 사업장의 사정으로 실직이 되거나 하면 당황스럽죠.

그럴때를 대비해서 실업급여 라는 제도가 있습니다!

실업급여 제도에 대해서 설명해 드리겠습니다.


1. 실업급여란?


- 고용보험 적용 사업장에서 경영상 해고 등 부득이한 사유로 이직하여 근로의 의사와 능력을 가지고

적극적으로 재취업활동을 하는 기간에 지원하는 구직활동 지원금으로써 통상 '구직급여' 를 말함.


*바로 직전의 사업장에서 본인 의지가 아닌 

사업장의 부득이한 이유로 해고되었을 경우에만 해당되며 

마지막 사업장 에서만의 고용기간이 아닌

그전 그 직전까지도 포함하여 

총 고용보험 가입기간이 6개월 이상이 되면 받을 수 있습니다.

고용보험 총 가입기간은  www.ei.go.kr 고용보험 사이트에서 확인하실 수 있어요!


-1~4주 단위로 [실업인정]을 받아야 구직급여를 지급받을 수 있으며, 

실업인정을 받지 못하면 그 기간의 구직급여는 소멸됨


-실업인정 이란 실업인정 대상기간 중 실업상태 (근로할 의사와 능력이 있는데 일자리가 없는 상태)

였는지 여부와 재취업활동 여부를 확인하고 구직급여 지급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말함.


2.소정급여일수 및 지급액 


-소정급여일수 : 이직전 연령 및 피보험기간 등을 고려하여 산정

*소정 급여일수 만료일 : 대기기간이 끝난 다음날부터 계산하여 해당 일수가 되는 날까지


-지급액 : 이직전 사업장에서 지급받던 평균임금의 50%

- '17년 4월 1일 ~ '17년 12월 31일 퇴사한 경우 하한액 46,584원, 

상한액 50,000원(8시간 기준)

- '18년 1월 1일 이직자부터 하한액 54,216원, 상한액 60,000원(8시간 기준)

-수급기간 : 퇴직한 날의 다음날로부터 12개월이 경과하면 소정급여 일수가

남아 있더라도 지급받을 수 없음.

* 소정급여일수 및 지급액이 상이한 경우에는 

수급자격 인정일로부터 90일 이내에 심사청구를 제기하여야 함


3. 구직급여 지급 절차


* 실업신고일 취업지원 설명회 

              - 구직표(인터넷) , 수급자격 인정신청서 제출

 - 초기 상담 및 다음 상담시간 예약


*1차 실업인정일(신청 후 14일째)

- 1차 유형분류를 위한 질문지 제출

- 실업인정 후 8일분 구직급여 지급


*2차 실업인정일 (1차 + 28일째)

-재취업활동을 한 후 실업인정 신청(인터넷 원칙)을 하면,

수급 기간내 실업상태 여부 등 실업인정 후 28일분 구직급여 지급

*인터넷은 당일 17:00까지 반드시 전송


*3차 실업인정일(2차 + 28일째)

- 2차와 동일하게 실업인정 후 28일분 구직급여 지급

-4차 실업인정 상담시간 예약


*4차 실업인정일

- 모든 수급자는 출석하여 적극적 구직활동 내용 등 확인 후 구직급여 지급

- 소정급여일수 120일 이상자는 심층상담을 통한 IAP수립, 2차 유형분류 후

취업지원 서비스 제공

- 소정급여일수 90일 대상자는 필요시 취업알선 집중 제공, 취업성공 패키지,

연장급여 제도 등 서비스 제공(종료)

*4차 실업인정일 다음날부터는 반드시 2주 2회이상 구직활동 진행해야 하며, 

실업인정(출석)주기는 단축될 수 있음.

->2주 2회 구직활동이 없는 경우 해당기간 구직급여 부지급


자세한 내용은 국번없이 1350으로 문의하시면 친절하게 상담해 드립니다!

실업급여 관련 질문이라면 굉장히 친절하게 상담해 주시니깐

망설이지 마시고 전화해서 물어보셔도 돼요~

아, 그리고 실업급여 기간 내 재취업 했다가

만약 그 사업장이 본인과 맞지않아 다른 사업장에

취업하기 위해 다시 나왔을 경우에도

재 실업 신고 하시면(실업급여 수급기간이 남아있을 경우에만)

남은 실업급여를 다시 수령하실 수 있으니 참고하세요!

그럴 경우에는 재실업 신고 하시고

 다시 구직활동을 재개하시면 됩니다!



+ Recent posts