우리는 왜 개는 사랑하고 돼지는 먹고 소는 신을까
멜라니 조이
모멘토
2011.02.21
무시한다고 해서 사실이 사라지지는 않는다 -올더스 헉슬리-
우리는 사회의 주류를 이루는 생활방식이 보편적 가치를 반영한다고 보는 경향이 있다.
그러나 우리가 보통 또는 정상이라고 생각하는 것은 따지고 보면 다수의 신념과 행동양식에 지나지 않는다. -p38-
도살 없이는 고기를 생산할 수 없다. -p41-
거짓말을 하려면 거창하게, 단순하게, 그리고 거듭해서 하라. 그러면 결국은 다들 믿게 된다
- 아돌프 히틀러-
현실을 왜곡하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부정이다. 아무 문제도 없다고 스스로에게 다짐하면 문제에 어떻게 대처할지 걱정할 필요가 없어진다.-p51-
한조각 한조각 죽어 간다/
운 나쁜 날은 수십마리의 소가 확실히 살아서 의식이 있는 채로 그의 앞에 도착한다,
일부는 꼬리를 자르고 배를 가르고 가죽을 벗길 때까지 살아 있기도 한다는 것이다.
'한 조각 한 조각씩 죽어가는 거지요.' 모레노의 말이다.-p70-
무시한다고 해서 사실이 사라지지는 않는다 -올더스 헉슬리-
권위에 대한 무분별한 존경은 진실의 가장 큰 적이다 -알베르트 아인슈타인-
아무리 잔혹한 일이라도 그게 관습이라면 사람들은 용인하게 마련이다
-조지 버나드 쇼-
지식의 가장 큰 적은 무지가 아니라 안다는 환상이다
-스티븐 호킹-
(농장에서 사육된 동물은) 추상적으로 생각하기가 더 쉽지요.----이런 구절이 생각나네요.
"한 사람의 죽음은 비극이다. 한 집단의 죽음은 통계자료다."
현대 기술에 힘입어 우리는 동물들이 식품으로 만들어지는 과정을 일절 목격하지 않으면서 해마다 수십억 마리의 동물을 먹을수 있다.
고기가 이처럼 대량으로 생산되는 한편 그 과정이 우리에게 격리돼 있음으로 해서
우리는 동물에 대해 그 어느때보다도 더 폭력적이자 덜 폭력적이게 되었다.
더 많은 동물을 죽일 수 있게 된 동시에 그들을 죽인다는 사실에 대해 덜 둔감해졌고 덜 편안해졌다는 뜻이다.
기술은 우리 행동과 가치관 사이의 간격을 더 벌려 놓았고, 그럼으로써 시스템이 그렇게도 숨기려고 애쓰는 도덕적 부조화를 한층 강화했다. -p170-
"동물들이 앞으로도 계속 고통받고 죽어가리라는걸 나는 안다. 하지만 그게 '나' 때문은 아니도록 해야한다."
- 본문 중에서-
'알고 있는것'을 무시하고 있는건 아닌지.
분명히 알고있는데...
그리고는 돼지고기 김치찌개를 떠올리는 나란 인간은...
내일 아침 잊어버릴지라도 오늘 하루는 반성해야겠다....
'북리뷰 > 인문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평생 잊지못할 한 구절 / 신경림 외 (0) | 2018.09.10 |
---|